본문 바로가기

삼국시대 고분 문화

한능검 2024. 10. 11.

삼국시대 고분 문화는 당시 사회의 모습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국가별로 특징적인 무덤 양식과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고구려의 고분 문화

초기 형태 : 돌무지무덤

삼국시대 고분 문화 장군총
삼국시대 고분 문화 장군총

  • 대표적 예 : 장군총
  • 특징 : 돌을 계단식으로 7층까지 쌓아 올림
  • 의의 : 한국의 피라미드라 불릴 만큼 규모가 거대함

변화 과정 - 굴식 돌방무덤

굴식 돌방무덤
굴식 돌방무덤

  • 구조 : 입구, 통로, 널방으로 구성
  • 특징 : 벽화 존재
  • 단점 : 도굴이 비교적 쉬워 유물 발견이 어려움

고구려 고분 벽화

  • 위치 : 통로, 벽, 천장에 그려짐
  • 내용 : 초기에는 일상생활 모습, 후기로 갈수록 사신도 등 추상적 그림
  • 의의 : 당시 생활, 문화, 종교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

백제의 고분 문화

한성 시기

석촌동 고분
석촌동 고분

  • 형태 : 계단식 돌무지무덤
  • 대표적 예 : 서울 석촌동 고분군
  • 의의 : 고구려와의 연관성을 보여줌

웅진 시기

무령왕릉
무령왕릉

  • 형태 : 굴식 돌방무덤, 벽돌무덤
  • 대표적 예 : 무령왕릉
  • 특징
    1)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
    2) 묘지석 발견으로 무덤 주인 확인 가능
    3)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된 유일한 백제 무덤
  • 의의 : 백제의 대외 교류 사실을 보여줌

사비 시기

  • 형태 : 규모는 작지만 세련된 굴식 돌방무덤

신라의 고분 문화

주요 형태 - 돌무지덧널무덤

  • 구조 : 나무 덧널 안에 관과 껴묻거리를 넣고 돌무지를 쌓은 후 흙으로 덮음
  • 특징 
    1) 입구와 방이 없어 벽화 부재
    2) 도굴이 어려워 많은 유물 발견 가능
  • 대표적 예 
    1) 천마총 :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 발견
    2) 황남대총 : 신라 최대 고분, 5만 점 이상의 유물 출토

변화 과정

  • 6세기말 이후 :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으로 굴식 돌방무덤으로 변화
  • 통일 신라 시대 
    1)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 유행
    2) 규모가 작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변화
    3) 봉토 주위에 12지 신상을 조각하는 독특한 양식 등장

가야의 고분 문화

  • 형태 : 돌덧널무덤이나 굴식 돌방무덤
  • 특징 : 산 언덕을 따라 일렬로 분포

삼국시대 고분 문화의 의의

  1.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 반영 : 벽화 제작, 껴묻거리 매장
  2. 신분제 확립 증거 : 무덤의 규모와 출토 유물을 통해 확인 가능
  3. 대외 교류 증거 : 무령왕릉의 사례처럼 중국, 일본과의 교류 확인 가능
  4. 당대 문화와 기술 수준 파악 : 출토 유물을 통해 확인 가능

이러한 삼국시대 고분 문화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입니다. 각 국가별 특징과 변화 과정, 그리고 그 의의를 잘 이해하고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이상과 같이 삼국시대 고분 문화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