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성종의 통치 체제 개혁
이번 포스팅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고려 성종의 중앙·지방제도 개편에 대한 내용입니다. 큰 틀에서 이해를 하고 넘어 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들어가며
고려 성종(재위 981-997)은 고려의 제6대 왕으로, 그의 재위 기간은 고려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성종은 체계적인 제도 개편을 통해 고려의 통치 체제를 확립했는데요, 그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유교적 정치 체제의 도입
최승로의 시무 28조
고려 성종은 즉위 직후 5품 이상의 고위 관리들에게 시무책(시정에 관한 의견서)을 제출하도록 했습니다. 이중 최승로가 제출한 시무 28조가 채택되어 유교적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한 국가 체제가 수립되었죠.
최승로의 시무 28조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을까요?
- 유교적 정치이념의 적극적 수용
- 불교의 폐단 시정
- 왕실과 국가의 구분 명확화
- 관리 선발과 관리의 기준 확립
2. 중앙정치제도의 정비
2성 6부제의 확립
고려 성종은 당나라의 3성 6부제를 고려의 실정에 맞게 변형하여 독자적인 2성 6부제를 확립했습니다.
중앙 행정 조직
- 중서문하성 : 중서성과 문하성을 통합한 최고 행정기구
- 상서성 : 실무 행정을 담당하며, 그 아래 6부를 둠
- 이부 : 인사 행정
- 병부 : 군사 행정
- 호부 : 재정 행정
- 형부 : 형벌 행정
- 예부 : 의례와 교육
- 공부 : 건설과 제조
독자적 회의기구 설치
- 도병마사 : 군사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회의기구
- 식목도감 : 법제와 격식을 심의하는 기구
이러한 회의기구들은 재신과 추밀이 참여하는 합의제 기구였습니다.
◈ 참고사항
고려시대의 재신과 추밀의 역할과 특징에 대한 설명입니다.
<재신(宰臣)>
- 정의와 구성 : 1) 중서문하성의 2품 이상 고위 관료로서 국가 정책을 심의하는 역할을 담당
2) 백규서무(국가의 정사)를 관장하며 의정 기능을 수행
3) 관복에는 옥대(玉帶)를 둘렀음
- 주요 권한 : 1) 왕의 조령(詔令)에 대한 초안 작성
2) 재검토를 위한 상주(上奏)
3) 수정 요청을 위한 복주(覆奏) 수행
<추밀(樞密)>
- 정의와 구성 : 1) 중추원의 2품 이상 관원으로 군사기밀을 담당
2) 추신 또는 추밀이라 불렸으며, 군사기무에 관한 정사를 관장
3) 총 9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추칠(樞七)'이라 불리는 7개 주요 관직 포함
- 역할과 기능 : 1) 군사 기밀 관장
2) 왕명의 출납 관리
3) 국가 중대사 논의 참여
<재신과 추밀의 공동 역할>
- 합의 기구 운영
1) 도병마사 : 국방 문제를 담당하는 회의체
2) 식목도감 : 법제와 격식 문제를 다루는 합좌기구
- 정치적 위상
1) 6부를 비롯한 주요 관부의 최고직을 겸직
2) 중앙 정치 운영에서 핵심적 위치 차지
3) 재신과 추밀을 통틀어 '재추'라 칭함
3. 지방행정제도의 혁신
12목의 설치
983년, 고려 성종은 고려 최초로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했습니다. 이는 매우 혁신적인 조치였는데요, 그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 983년 : 12목 설치 및 목사 파견
- 986년 : 목사의 가족 동반 부임 허용
- 987년 : 경학박사와 의학박사 파견으로 지방 교육 강화
체계적인 지방행정구역 확립
고려 성종은 지방행정구역을 다음과 같이 정비했습니다.
- 5도 : 일반 행정구역으로 운영
- 양계 : 북계와 동계로 구분된 군사행정구역
- 특수행정구역 : 향·부곡·소 설치
◈ 참고사항-고려의 5도
1. 양광도(楊廣道) : 현재의 경기 남부, 충청도 지역에 해당, 후기로 갈수록 양주가 경기에 편입되면서 영역이 축소됨
2. 경상도(慶尙道) : 현재의 경상도 지역과 유사, 일부 현재의 충청북도 지역(영동군, 옥천군, 보은군)도 포함
3. 전라도(全羅道) : 현재의 전라도 지역과 유사, 당시에는 현재의 충청남도 금산군과 논산시 남부 일부도 포함
4. 서해도(西海道) : 고려 후기에는 현재의 황해남도 지역과 비슷한 영역, 후기로 갈수록 영역이 축소됨
5. 교주도(交州道) : 현재의 강원도 지역과 유사, 동계의 남쪽 영동 지방 대부분을 포함
[특징] 5도는 주로 행정적 성격을 띠었음, 개경 주변의 경기(京畿)는 5도에 포함되지 않는 별도의 행정구역이었음, 이러한 5도 체제는 이후 조선의 8도 체제의 기초가 됨.
4. 군사제도의 정비
중앙군
- 2군 : 왕실을 호위하는 친위부대
- 6위 : 수도 방위와 국경 수비를 담당
지방군
- 주현군 : 5도에 배치된 예비군 성격의 군대
- 주진군 : 양계 지역에 배치된 상비군
마치며
고려 성종의 제도 개편은 고려 중앙집권체제의 근간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지방관 파견은 고려 건국 이후 처음 시도된 획기적인 조치로, 중앙의 지방 통제력을 크게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성종의 업적은 이후 고려가 안정적인 국가 체제를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우리나라 행정체계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이 부분이 자주 출제되는 만큼, 고려 성종의 제도 개편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정리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고려 성종대 통치 체제 정리표
위 내용을 바탕으로 중요한 제도들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중앙정치제도
제도설명
최승로의 시무 28조 | 유교적 정치이념 도입 |
2성 6부 | 중서성과 문하성을 통합, 상서성 산하 6부 구성 |
도병마사 | 군사 문제 논의 기구 |
식목도감 | 법제와 격식 심의 기구 |
대간 | 왕의 잘못 비판 및 검토 역할 |
지방행정 및 군사제도
구분내용특징
12목 설치 | 지방관 파견 | 최초로 지방관을 파견하여 지방 통제 강화 |
5도 | 일반 행정구역 | 주현군(예비군) 배치 |
양계 | 북계와 동계 | 주진군(상비군) 배치 |
군사 조직체계
구분지역성격
중앙군 | 2군 | 국왕 친위부대 |
6위 | 수도 경비와 국경 방어 | |
지방군 | 주현군 | 5도의 예비군 |
주진군 | 양계의 상비군 |
댓글